교육/수학2
-
[수2_미분] 2. 미분 가능성과 연속성교육/수학2 2025. 3. 23. 23:40
이번 단원에서는 미분이 가능한지를 따짐일단 개 간단하게미분 가능 → 연속임연속임 ↛ 미분 가능함 이거임 이거 알라면 지난 단원인미분 계수와 도함수 이걸 알아야 함 https://sudamilda.tistory.com/186 [수2_미분] 1. 미분계수와 도함수직선의 기울기부터 스타트참고로 미분은 간단히 기울기다 아아 한 점과 다른 한 점을 이은그 선의 기울기를 나타내는 것은 세가지가 있다. 1. y 차이 / x 차이 (여기서 차이가 델타임)2. 그걸sudamilda.tistory.com 어쨌든 지난 단원 안다고 치고 설명함 미분 가능성 따지려면 개 간단하게우미분계수 = 좌미분계수 이렇게 따지면 됨 그게 곧 미분 계수가 존재한다는 의미 아니겠음 그래서 한 번은 x가 a로 가까이 갈 때의 식 또 한 번..
-
[수2_미분] 1. 미분계수와 도함수교육/수학2 2025. 3. 21. 23:30
직선의 기울기부터 스타트참고로 미분은 간단히 기울기다 아아 한 점과 다른 한 점을 이은그 선의 기울기를 나타내는 것은 세가지가 있다. 1. y 차이 / x 차이 (여기서 차이가 델타임)2. 그걸 y차이를 함수값으로 생각해보면 두번째 식3. x값의 차이(삼각형 밑변), y값의 차이(삼각형의 높이)그럼 탄젠트 나옴평균변화율곡선위의 서로 다른 두 점을 연결한 선분의 기울기 곡선 위의 두 점을 이은 기울기가 평균변화율이다. 그걸 나타내는 두 정의 1. 두 점의 기울기 2. x_2를 x_1+델타(x_1과 x_2의 차이)로 나타냄순간 변화율 = 접선의 기울기 = 미분계수평균 변화율의 x_2를 x_1으로 가까이 보냄아주 그냥 달라 붙게 보냄그게 유식하게 리미트임 처음 있는 점의 x좌표를 a라고 생각하고두번째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