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🚀 빅테크 호실적, S&P 500 상승 견인주식 및 자금 관리 2025. 5. 2. 14:52728x90
🚀 빅테크 호실적, S&P 500 상승 견인
- 마이크로소프트(+7.6%) 및 메타(+4.2%)의 호실적으로 기술주 강세
- 클라우드 부문 성장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
- S&P 500, 8거래일 연속 상승 기록
- 헬스케어 섹터는 일라이릴리 부진으로 하락
- 제조업 PMI 위축, 관세 우려로 공급망 부담 확대
✔ 요약: 기술기업 실적 호조로 지수 상승, 경기지표 부진은 하방 압력.
💻 MS·메타, AI 분야에 대규모 투자 지속
- 마이크로소프트, 연간 CAPEX 800억 달러 유지 계획
- 메타, 연간 CAPEX 가이던스를 상향(640~720억 달러)
- Azure, AI 수요 기반으로 매출 +33% 증가
- 메타 광고 부문도 견조한 성장세 유지
✔ 요약: 양사는 AI 투자 확대를 통해 향후 성장 기반 강화.
📉 제조업·GDP 지표 부진, 경기 둔화 우려 확대
- 4월 ISM 제조업 PMI 48.7로 5개월 연속 위축
- 가격지수는 69.8로 상승, 인플레이션 압력 지속
- 애틀란타 연은, GDP 전망치를 2.4% → 1.1%로 하향 조정
- 건설지출 및 신규 실업수당 청구도 부진한 흐름
✔ 요약: 주요 경기 지표 둔화 및 물가 압력 동시 노출.
📦 아마존, AWS 성장 둔화로 주가 하락
- 1분기 매출 1,557억 달러, EPS 1.59달러로 모두 시장 예측 상회
- AWS 성장률은 +16.9%로 최근 5분기 중 최저
- 2분기 가이던스는 긍정적이나, 성장 둔화 우려 부각
- CEO는 무역 및 경기 불확실성에 대한 경계감 표출
✔ 요약: 실적은 양호했으나, 클라우드 성장 둔화 우려로 주가 하락.
📱 애플, 실적 발표 후 하락세 전환
- 2분기 매출 1,243억 달러(예상치 하회), EPS 2.40달러(예상치 상회)
- 서비스 부문 실적 부진, 관세로 9억 달러 비용 증가
- 미주 매출은 8% 증가했으나 선반영 가능성 지적
✔ 요약: 서비스 부진과 비용 부담으로 실적 발표 후 주가 하락.
💊 일라이릴리, 가이던스 하향에 헬스케어 섹터 약세
- 1분기 매출은 예상을 상회했으나, EPS는 하회
- 연간 EPS 가이던스 하향 조정
- FDA의 백신 임상 기준 강화 소식도 부담 요인
- 화이자(-2.0%), 노바백스(-3.9%) 등 동반 하락
✔ 요약: 일라이릴리 실적 부진 및 규제 이슈로 섹터 전반 하락세.
📍 미·중 관세 협상 동향
- 양국, 협상 재개 의지 지속 표명
- 중국은 미국의 관세 철회 요구 재확인
- 트럼프 행정부는 관세 확대 지속 → 긴장 고조
- 중국은 전략적 접근으로 분쟁 완화 시도
✔ 요약: 중국, 대화 가능성 열어두며 협상 재개 기대감 유지.
🛢️ 미국, 중동 외교·기술 수출 전략 가속
- 트럼프 행정부, 5월 중순 중동 순방 계획 중
- 중국-UAE, 장기 LNG 계약 체결
- 미국, 엔비디아 수출 제한 완화 검토 중
- 관세 협상 관련 발언도 긍정적 시사
✔ 요약: 외교·기술 전략 병행하며 무역 갈등 조정 시도.
⚠ 웰스파고, 단기 변동성 경고
- S&P 500, 단기적으로 4,835선 재하락 가능성 언급
- 무역 불확실성 및 성장 둔화 우려 반영
- 4월 초 관세 발표 이후 일시적 급락 사례 존재
- 5,000~5,500pt 등락 예상, 방어적 포트폴리오 권고
✔ 요약: 웰스파고, 단기 조정 경고하며 우량주 중심 전략 제시.
728x90'주식 및 자금 관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📈 미국 증시, 1분기 역성장 충격 속 빅테크 호실적에 회복 마감! (3) 2025.05.01 트럼프 관세 완화로 반등한 미국 증시, 그러나 경기 둔화 우려 여전 (6) 2025.04.30 미국 증시 요약: 테슬라·엔비디아 급등, 무역협상 기대감 반영 (4) 2025.04.28 급락한 금값, 급등한 미국 증시…무슨 일이 벌어졌나? (4) 2025.04.24 📈 최근 글로벌 증시 움직임 요약: 트럼프發 관세 완화 시그널과 테슬라 이슈 중심 (4) 2025.04.23